서울의대동창회, 서울의대, 서울대병원 역사
년도 |
서울대학교의과대학 동창회 |
서울대학교 의과대학 |
서울대학교병원 |
1885 |
|
|
∙ 제중원(한국 최초의 서양식 국립병원) 개원(04.10) |
1899 |
|
∙ 의학교(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전신) 관제 반포(03.24) |
∙ 광제원(대한제국시기의 국립병원) 개원(04.24) |
1902 |
∙ 의학교 제1회 졸업생 19명 |
|
∙ 의학교부속병원 개원(06.12) |
1907 |
∙ 대한의원 교육부 제1회 졸업생 13명 (07.09) |
∙ 의학교, 대한의원 의육부로 개편(03.10) ∙ 대한의원 의육부, 대한의원 교육부로 개칭 |
∙ 대한의원 개원(03.15) |
1908 |
∙ 대한의원부속의학교 제1회 졸업생 5명(10.24) |
|
∙ 대한의원 개원식(10.25) |
1909 |
|
∙ 대한의원 교육부, 대한의원 부속의학교로 개편 |
∙ 대한의원 분과규정 발표(11.30) |
1910 |
|
|
∙ 대한의원, 중앙의원으로 개칭됨(09.02) ∙ 중앙의원, 조선총독부의원으로 개칭됨 (09.30) |
1911 |
∙ 조선총독부의원부속의학강습소 제1회 졸업생 27명(03) |
|
|
1916 |
|
∙ 조선총독부의원 부속 의학강습소, 경성의학전문학교로 승격됨(04.01) |
|
1917 |
∙ 경성의학전문학교 제1회 졸업생 48명 |
|
|
1923 |
|
|
∙ 조선총독부의원 시료외래진료소 완공 |
1924 |
|
∙ 경성제국대학 설립(경성제국대학 예과 개설) (05.02) |
∙ 조선총독부의원 (보통)외래진료소 완공 |
1926 |
|
∙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첫 학기 개강 |
|
1928 |
|
|
∙ 조선총독부의원,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 의원으로 개편됨(05.28) ∙ 경성의학전문학교 부속의원 개원 (11.29) |
1930 |
∙ 경성제국대학의학부 제1회 졸업생 56명(03.01) |
|
|
1930 |
|
∙ 경성의학전문학교 구본과 폐지(06.18) |
|
1936 |
|
∙ 경성제대 의학부 본관 증축 준공 |
|
1941 |
|
∙ 수업연한 임시 단축(10∼) |
|
1945 |
|
∙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를 경성대학 의학부로 개칭됨(10.17) |
∙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의원, 경성 대학 의학부 부속병원으로 개편됨(10.17) |
1946 |
∙ 경성대학의학부 제1회 졸업생 34명 |
∙ 경성대학 의학부와 경성의학전문학교 통합, 국립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출범 (08.22) 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개교(10.15) |
∙ 경성대학 의학부 부속병원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제1부속병원, 경성의학전문학교 부속의원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제2부속병원으로 개편됨(08.22) |
1947 |
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제1회 졸업생 108명(학부 및 전문부)(07.11) |
|
|
1949 |
|
∙ 국립서울대학교가 서울대학교로 개칭됨 (12.31) |
|
1950 |
|
∙ 한국전쟁 중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상당수 교수들이 납북됨 |
|
1951 |
|
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, 부산시 광복동 에서 개교 |
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, 36육군병원으로 개편됨 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, 부산에 피란병원 개설(07.) |
1953 |
|
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환도 |
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서울 환도 |
1954 |
|
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, 미5공군으로부터 교사 환수 ∙ 기생충학교실 신설 ∙ '미네소타 프로젝트' 약정서 체결(09.28) |
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재개원 (03.30) |
1955 |
∙ 서울대학교의과대학동창회 창립 (시계탑건물 1층)(06.13) ∙ 1∼2대 회장 박건원(朴乾源) |
|
|
1957 |
∙ 3∼4대 회장 임명재(任明宰)(06∼) |
|
∙ 외과가 일반외과, 흉부외과, 신경외과, 정형외과로 분리됨 |
1958 |
|
|
∙ 인턴 수련 시작 |
1959 |
∙ 5대 회장 김성진(金晟鎭)(06∼) |
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 간호학과 신설 |
∙ 제1회 인턴 수료자 18명 배출 ∙ 레지던트 제도 시작 ∙ 흉부외과 이영균교수 한국 최초 개심술 시행(08.07) |
1960 |
∙ 6∼7대 회장 박주병(朴柱秉)(10∼) |
|
∙ 국내 최초로 '방사성동위원소진료실’ 설치(05.30) |
1962 |
∙ 8대 회장 박천규(朴天圭)(10∼) |
|
|
1963 |
∙ 9대 회장 이선근(李先根)(10∼) |
∙ 결핵연구소·암연구소·풍토병연구소 신설 |
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제2부속병원, 국방부 관할로 개편됨(01.04) |
1964 |
∙ 10대 회장 명주완(明柱完)(10∼) |
|
∙ 특진제도 실시(01.) |
1965 |
∙ 11대 회장 박병래(朴秉來)(10∼) |
|
|
1966 |
∙ 12∼13대 회장 김석환(金錫煥)(10∼) |
|
∙ 특별회계제도 채택 (독립채산제 도입) (01.01) |
1967 |
|
∙ 신경외과학교실·마취학교실 신설 |
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축 5개년 계획 확정(11.06) |
1968 |
∙ 14∼15대 회장 김동익(金東益)(12∼) |
∙ 흉부외과학교실·정형외과학교실 신설 |
∙ 신축병원 기공식(03.16) |
1969 |
∙ 동창회 소식지 창간호 발행(02) |
|
|
1970 |
∙ 16대 회장 김영언(金永彦)(12∼) |
|
|
1971 |
∙ 17∼18대 회장 윤덕선(尹德善)(12∼) ∙ 동창회칙 제정(12.20) |
|
∙ 수련의 파동 |
1972 |
|
∙ 인구의학연구소 개설 ∙ 신경과학교실 신설 ∙ 교과과정 개편으로 통합강의 실시 |
∙ 정신신경과, 정신과와 신경과로 분리됨 (12.20) |
1973 |
|
|
∙ 외래진료소 화재 발생(01.25) |
1974 |
∙ 19대 회장 한격부(韓格富)(02∼) |
∙ 의학도서관 신축 개관 |
|
1975 |
|
∙ 의학교육연수원 발족 ∙ 종합실습실 신축 개관 ∙ 교수재임용제도 도입 |
|
1976 |
∙ 20∼21대 회장 문태준(文太俊)(06∼) |
|
|
1977 |
|
|
∙ 서울대학교병원설치법 제정 (법률 제3056호)(12.31) ∙ 내과 김정룡교수팀 B형 간염 바이러스 분리 추출 성공 |
1978 |
∙ 제1회 테니스대회(05.14) ∙ 재단법인 서울대학교의과대학동창회 학술연구재단 설립 등기(06.23) ∙ 학술연구재단업무 서울의대 잠정이관 (07.28) |
|
∙ 서울대학교병원설치법시행령 제정 공포 (06.21) ∙ 본관 준공 ∙ 특수법인 서울대학교병원(의대 및 치대부속병원 통합) 출범(07.15) ∙ 초대원장 김홍기 교수 |
1979 |
∙ 22∼23대 회장 백낙환(白樂晥)(05∼) |
|
∙ 신축 병원 외래진료 시작(02.05) ∙ 병원보 창간(04.30) ∙ 병원업무 전산화위한 컴퓨터 도입 가동 (06.01) |
1980 |
|
|
∙ 의공학과 민병구 교수팀, 국내 최초 인공췌장 개발(02.22) ∙ 부설 병원연구소 발족(05.30) |
1981 |
∙ 제1회 바둑대회 개최(06.28) |
|
|
1983 |
∙ 24∼29대 회장 강신호(姜信浩)(03∼) |
∙ 암연구소 개소 |
|
1984 |
|
∙ 법의학교실·성형외과학교실 신설 ∙ 임상병리학교실·재활의학교실 신설 ∙ 치료방사선과학교실(훗날 방사선 종양학교실) 신설 |
|
1985 |
|
|
∙ 산부인과 장윤석 교수팀, 국내 최초 시험관아기 출산 성공(10.12) ∙ 어린이병원 개원(10.16) |
1987 |
|
∙ 생화학관 준공 ∙ 연보 창간 ∙ 의료관리학교실 신설 ∙ 교수협의회 창립 |
∙ 서울특별시립 영등포병원 수탁 운영 (10.01) ∙ 지석영 선생 동상 제막(10.26) |
1988 |
|
|
∙ 외과 김수태 교수팀, 국내 최초 간이식 성공 (03.17) |
1989 |
|
∙ 의공학연구소 개설 |
∙ 3차 진료기관으로 지정(07.01) |
1990 |
∙ 동창회사무실 서울의대 3층 이전 (06.22) |
∙ 기초의학연구동 준공 및 개관 ∙ 제1회 '학부모의 날' 행사 개최 ∙ 학장 선거(개교 이래 최초의 교수 직접선거에 의한 학장 선출) |
∙ 산부인과 김승욱 교수팀, 국내 최초 태아수혈 성공(11.20) |
1991 |
|
∙ 제1회 '동창의 날’ 행사 개최 |
∙ 시립 영등포병원, 보라매병원으로 신축 이전 (11.18) |
1992 |
|
∙ 간호학과, 간호대학으로 승격, 분리 |
∙ 의학박물관 개관(04.06) |
1993 |
|
∙ 서울대학교 기금교수 운영규정 확정 |
∙ 서울대병원사 출간(05.13) |
1994 |
|
|
∙ 양전자단층촬영기(PET) 국내 최초 설치 (06.15) |
1995 |
∙ 동창회관(함춘회관) 건립 발의 (상임이사회)(01.19) ∙ 30∼34대 회장 이길여(李吉女)(03∼) ∙ 소식지 타블로이드판(12면) 발간 (04.30) ∙ 함춘회관 건립기금 모금사업 개시 (07.01) |
|
|
1996 |
|
|
∙ 인터넷 홈페이지 개설(01.25) |
1997 |
∙ 제1회 함춘의학상 시상(12.13) |
∙ 핵의학교실·가정의학교실 신설 |
∙ 임상시험센터 신설(05.08) |
1998 |
∙ 학술연구재단업무 서울의대에서 동창회 로 이관(05.01) |
∙ 의학교육실 개설 |
∙ 국내 최대 규모 임상의학연구소 준공 (05.15) |
1999 |
|
∙ 의학교 관제 반포 100주년 기념행사 개최 |
∙ 국내 의료계 최초 비전 선포(01.29) ∙ 종합의료정보시스템 본격 가동(10.14) ∙ 내과 김정룡 교수팀, C형 간염 바이러스 혈청분리 세계 최초 성공(11.17) |
2000 |
∙ 제1회 함춘대상 시상(학술연구,의료봉사, 사회공헌부문 각1명) (03.16) |
∙ 삼성암연구동 준공 ∙ 의약분업 저지투쟁으로 동맹휴학 ∙ 응급의학교실 신설 |
|
2001 |
|
∙ 연세대학교 의과대학과 학점 교류 |
∙ PACS 본격 가동(07.01) |
2002 |
∙ 제1회 친선등산대회 개최(05.19) ∙ 함춘회관 준공(10.21) ∙ 제1회 함춘미술전(10.) |
∙ 인간유전체연구소 신설 ∙ 특수생명자원연구동 개관 |
∙ 전자행정시스템(그룹웨어) 가동(06.01) ∙ 분당서울대병원 준공(12.04) |
2003 |
∙ 제1회 골프대회(10.30) |
|
∙ 분당서울대병원 본격 진료 시작(05.10) ∙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개원(10.14) |
2004 |
∙ 해외연수비 지원식(08.31) ∙ 제1회 장기려의도상 시상식(12.06) |
|
∙ 서울권역응급의료센터 개소(04.28) ∙ 전자의무기록시스템(EMR) 본격 가동 (10.15) |
2005 |
∙ 35∼36대 회장 하권익(河權益)(03.28) (동창회 발전기금 모금시작) |
|
∙ 보건복지부 의료기관 평가 1위(04.14) |
2006 |
|
|
∙ 보건복지부 혁신형 연구중심병원 선정 (11.28) ∙ 뉴비전 ‘BREAKTHRU 21’ 선포(12.13) |
2007 |
|
|
∙ 대한의원 100주년 제중원 122주년 기념식 개최(03.15) ∙ 4개병원 한마음축제 개최(03.24) ∙ 공공보건의료사업단 출범(04.12) |
2008 |
|
∙ 의생명과학관 개관 |
∙ 보라매병원 새 병원 개원(06.18) |
2009 |
∙ 37대 회장 박용현(朴容眩) 취임(03.24) ∙ 제1회 후배사랑장학금 신설(08.31) |
|
|
2010 |
|
|
∙ 본관 로비 확장 증축(03.31) |
2011
|
∙ 38대 회장 박용현(朴容眩) 연임(03.22) |
∙ 의예과 소속 변경 (자연대학에서 의과대학으로) |
∙ 보건복지부 의료기관 인증 최초 획득 (01.27) ∙ 암병원 개원(03.25) ∙ 통합 HI(Hospital Identity) 선포(08.04) |
2012 |
|
|
∙ 임상시험센터, 초기임상시험 글로벌 선도센터 선정(11.16) |
2013 |
∙ 39대 회장 박용현(朴容眩) 연임(03.26) |
|
∙ 보건복지부 연구중심병원 선정(03.26) |
2014 |
∙ 제1회 함춘문예전(10.11) |
|
∙ UAE 왕립병원(SKSH) 위탁운영계약 체결(08.03) ∙ 문경 인재원 개원(09.25) |
2015 |
∙ 40대 회장 홍정용(洪正龍) 취임(03.24) |
|
∙ UAE 왕립병원(SKSH) 개원(02.18) ∙ 의학연구혁신센터(CMI) 개소(07.16) ∙ 첨단외래센터 기공(12.03) |
2016 |
|
|
∙ 차세대 병원정보시스템(HIS) 본격 가동 (11.19) ∙ 국가중앙격리병동 확충(12.07) |
2017 |
∙ 41대 회장 홍정용(洪正龍) 연임(03.28) ∙ 1회 동기회 졸업70주년 기념행사 개최(05.24) |
|
∙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시행(02.01) ∙ 의사직업윤리위원회 발족(08.22) |
2018 |
|
|
|
2019 |
∙ 42대 회장 임수흠(林秀欽) 취임(03.28) |
∙ 의학교 120주년 기념행사 및 서울의대 ‘뉴비전’ 선포(03.29) |
∙ 대한외래 개원(04.03) |